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PM이 되나보다

데이터 드리븐 기획 2주차 - 심화, 로그설계,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본문

PM

데이터 드리븐 기획 2주차 - 심화, 로그설계,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둥쟁 2025. 6. 10. 19:08

 

 

 

어렵다... 내가 뭘 모르는지도 모르겠을 만큼 다 모르겠다....

난 왜 이렇게 똥일까....?

 

그냥 내일부터 냅다 과제를 해봐야겠음

강의 들으면 들을수록 더 슬퍼져,,,

 

일단 해야하는거에 집중을 해보겠서요...

저녁엔 그냥 영어 공부나 할래요

머리아파


 

2 -1,2. 로그 설계 심화 및 실습 (1) (2) 

 

로그는 어디에 사용하나요?

  • 문제 해결 및 디버깅
  • 사용자 행동 분석
  • 비즈니스 전략 수립

 

로그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다양한 종류의 로그가 있지만, PM으로서 알아야 할 대표적인 로그에는 클라이언트 로그가 있다.

 

 

로그는 어떻게 설계하나요?

로그 설계는 단순히 "무엇을 기록할지"가 아니라 "왜 기록할지", "어떻게 기록할지"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PM은 이 설계를 통해 개발 팀이 실제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거나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로그 정의 정책

로그 정의를 하면서 정해지는 정책들이 있다면 초반부에 잡아놓고 가는것이 좋음

 

배민의 경우

 

클라이언트 로그

다른 말로 '화면 로그' 를 뜻하며 서비스 화면을 기준으로 로깅된 로그로 정의함(Ex. click, pageview)

클라이언트 로그는 유저가 어떤 페이지를 방문했고 그 페이지에서 어떤 영역을 클릭했는지 등 유저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로그의 로그타입(Action Type)에 따라 발생하는 로그 종류

  • 페이지 로그(pageview) : 유저가 인지하는 하나의 화면(view)를 '페이지'라고 하며 이 화면이 로딩 될 때 남기는 로그
  • 이벤트 로그 (event) : 유저의 특정 '행동(클릭 등)'시, 남기는 로그

 

 

 

로그가 개발자에게 넘겨 졌을 때 실질적으로 적재가 되는지도 PM이 더블 체크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이란?

네이티브 앱(Native App)과 웹 앱(Web App)의 특징을 결합한 형태

 

 


 

2-3.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는 순서

문제 정의 → 데이터 수집 → 분석 수행 → 결과 해석 및 인사이트 도출 → 결과 적용

 

로그를 심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보자!

 

 

 

 

 

배민의 경우 매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주문" 행위가 중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주문 전의 내용들이 중요해 짐

 

주문 소요시간 / 체류시간 X 100 = 메인홈 체류시간

 

데이터 분석에 대한 결과도 적어보는것이 좋다

 

갑자기 튀는 데이터를 살펴보는것도 팁! (그날 그날의 이슈가 데이터에 드러남) 

 

 


 

 

 2-4.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시각화 목적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시각화는 단순히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1. 시계열 비교

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

 

 

 

2. 속성 비교

여러 그룹이나 범주(카테고리) 간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

서로 다른 항목들이 어떻게 다르고, 어느 것이 더 크거나 작은지를 비교

 

 

 

 

3. 분포 파악

어떤 형태로 퍼져 있는지(분포 특성) 분석하는 방법

데이터의 중심값, 범위, 이상값(Outliers) 등을 확인

 

 

4. 상관 분석

두 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

한 변수가 증가할 때 다른 변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지를 분석

 

 

데이터 시각화 기본

1. 배치 순서에 의미를 두어야 함

  • 데이터를 배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시간 흐름, 크기 순서 등)를 고려하고 논리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2. 비교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그래프나 표를 조절 + 정렬할 필요가 있음

  • 비교하려는 대상에 따라 막대 그래프, 선 그래프, 원 그래프, 표 등을 적절히 선택해야 함
  •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정렬(내림차순, 오름차순 등)하여 비교하기 쉽게 만들어야 함

3. 수치를 비교할 때는 가로보다 세로를 추천

  • 막대 그래프를 사용할 때 가로형보다는 세로형을 추천
  • 사람의 시각적 인식 특성상 세로형 그래프가 수치 비교에 더 적합함
  • 가로형 그래프는 긴 텍스트가 있을 때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데이터 시각화 팁

1. 색은 강조하고 싶은 요소에만 사용

2. 색은 최소한의 수로만 사용

3. 대비되는 색 사용이나 그라데이션 사용 주의

4. 색이 가지고 있는 컬러값들을 반영 (+/- 등 표현 시 고려)

5. 배경색 사용 시 유의 (무의미한 배경색 지양)

6. 불필요한 장식, 테두리 설정 등은 지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