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배캠] 서비스기획 입문2 - PM업무에 GPT활용하기
현대인의 필수품이 아닐까 싶은 챗 GPT
정말 실무하다가 갑자기 GPT가 안될때 심장이 빨라지며
"자기야..어디갔어..." 하게 된다
요즘은 이미지도 정말 잘 만들어 주는거 같음
다만 말귀를 잘 못알아 먹거나 이미지 만들어 달라고 하면 너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지피티 플러스를 어제 결제해서 사용해 보았는데 확실히 이미지 만들어 주는 속도가 빠르다!
(아앗.. 내 2만9천원 ㅠ)
아직 요령이 없어서 명확한 주문을 하지 못하는데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꿀팁들을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라
기억해두고 잘 써먹어야 할거 같다.
가끔 원하는 답을 얻을 때 까지 지피티를 혹사 시킬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나중에 로봇이 나부터 죽이는거 아닐까 걱정해서 항상 마지막엔
지피티야 고마워! 하고 인사해줌 ㅋㅋㅋㅋ(극강의 N...)
모든 Ai로봇들에게 친절을 배풀어보자!
2-1. 프롬프트의 기초
1. 영어 사용하기
영어로 쓰면 답변 퀄리티가 올라간다
한국어로 작성하면 영어로 자동 번역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2. 역할 지정하기
"너는 유능한 PM이야" 등 역할을 명확하게 지정해주면 답변이 더 상세함
- ❌ "이 기획안을 보고 평가해줘.”
- ✅*"너는 개발자야. PM이 작성한 기획안을 보고 개발자 관점에서 의견을 줘"*
3. 정보를 자세히 주기
GPT에 정보를 더 많이 줄수록 더 좋은 답변이 나온다.
- ❌ "새로운 앱 아이디어를 추천해줘."
- ✅ "우리는 20대 직장인을 위한 생산성 앱을 만들려고 해. 주요 타겟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시간 관리를 돕고 싶어. 현재 시장에는 Notion 같은 도구들이 있지만, 이런 도구들을 사용하기 어려워하는 초보자를 위한 누구나 쉽게 쓰는 앱 아이디어를 제안해줘."
4.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제공
한번에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시키면 답변의 퀄리티가 떨어진다.
- ❌ "우리 앱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려고 해. 먼저 사용자 플로우를 분석하고,개선점을 찾아줘."
- ✅ "우리 앱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려고 해. 현재 사용자 플로우를 분석해줘.”
5. 이어서 세부 질문하기
사람과 대화하듯이 이어가면서 구체화한다. 결과가 부족하면 더 보충 설명을 요청하자.
✅"우리 앱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려고 해. 현재 사용자 플로우를 분석해줘.”
→ “위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점을 찾아줘”
6. 원하는 결과 형태를 요청하기
- ✅"너무 긴 문장은 사용하지 말고, 각 항목을 간단히 요약해줘."
- ✅"제목, 요약, 장단점으로 나눠서 정리해줘."
2-2. GPT 활용케이스
✅ GPT에게 시키면 생산성이 오를 수 있는 업무
- 문서 초안을 써서 발전시킬 수 있는 업무
- 문서 작성시 초안을 빠르게 써줌
- 리서치가 필요한 업무
- 많은 웹문서를 읽고 요약해야하는 업무를 시켜서 빠르게 요약함
- 데이터를 분석해야하는 업무
-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음
✅ 1. UX 리서치
1) 사용자 인터뷰 질문지 만들기
- 좋은 인터뷰 질문지가 나와야, 사용자 인터뷰의 퀄리티가 올라간다.
- 질문지 초안을 최대한 빠르게 GPT에게 요청해보자.
- 신규 기능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질문
- 우리 서비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다.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이나 아이디어를 자연스럽게 제안할 수 있도록 인터뷰 질문을 작성해줘.
- 사용자 페인포인트를 탐구하는 질문
- "우리 제품을 사용하는 중에 가장 불편하다고 느꼈던 점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한 인터뷰 질문을 작성해줘. 사용자들이 구체적인 사례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질문을 구성해줘."
2) 사용자 인터뷰 결과 분석
사용자 인터뷰 결과같은 텍스트를 빠르게 요약/정리하는 업무에는 GPT를 활용하면 빠르다.
- 사용자 인터뷰 결과 정리
- 너는 UX리서처야. 위 인터뷰 결과를 분석해서, 정리해줘
- 사용자 인터뷰 결과 기반 문제정의 & 개선사항 도출
- 위 인터뷰 결과 정리 내용을 토대로 프로덕트의 문제정의와 개선사항을 도출해줘
✅ 2. 사용자 니즈파악
1) 페르소나 정의
- 페르소나는 사용자를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필요와 행동에 맞는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정의한다.
- 페르소나는 팀 내에서 고객을 생각할 때 떠올리게 하는 공통의 기준이라고 볼수 있다.
- 내가 사용해보지 않은 서비스를 기획할때 활용해보면 좋음
- 페르소나 정의
- 너는 배달의 민족 PM이야. 서비스의 페르소나를 설정해줘
2) 사용자와 가상 대화를 통한 니즈파악
- 사용자의 니즈 파악을 위해서, 페르소나로 설정한 사용자와 가상으로 대화
- 실제 고객과의 대화로 대체할 수는 없지만, 초기 사용자 연구를 돕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구체적인 경험 묻기
- 위에 설정한 페르소나1과 가상의 대화를 시작하고 싶어. 앞으로 내가 묻는 질문에 대답해줘. 배달의민족을 쓸 때 가장 불편했던 경험을 하나 알려줘
- 의견 묻기
- 위에 설정한 페르소나1과 가상의 대화를 시작하고 싶어. 앞으로 내가 묻는 질문에 대답해줘. 배달의민족와 쿠팡이츠를 쓸 때, 각각의 장단점을 알려줘
✅ 3. 데이터 분석
1) OKR 설정
- 측정 불가능하거나 모호한 목표를 실제 데이터나 지표를 기반으로 구체할 수 있다.
- 대신 신규 기능의 컨셉, 타겟 등을 자세하게 알려줌
- https://techblog.woowahan.com/10232/
- ‘함께주문’을 담당했던 PM은 KR지표를 ‘주문수’로 측정함
- OKR 설정
- 너는 배달의 민족 pm이야.
2)타겟 유저는 기존에 여러 개의 메뉴를 시키거나 친구, 동료들과 함께 먹는 사용자일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런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주문을 ‘단체주문’이라고 해보겠습니다. - OKR을 수립해줘.
2) 데이터 분석
GPT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빠르게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다.
- 데이터 분석
- 너는 데이터 분석가야. 위 파일은 검색 키워드, 검색 횟수, 클릭수가 담겨있어. 클릭률이 높은 키워드 5개를 알려줘.
- 위 키워드들이 전체 검색량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알려줘.
✅ 4. 요구사항 정의
1) 요구사항 초안 만들기
요구사항 정의서에 필요한 항목들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너는 배달의민족 PM이야. 배달앱에 배달비 정기구독 서비스를 만들려고해. 요구사항 정의서를 만들어줘. 개발자,디자이너들이 함께 볼거야.
2) 요구사항 보강하기
- 놓칠 수 있는 세부적인 항목에 대해서도 GPT가 챙겨준다.
- 개발자, 디자이너, PM, 마케팅팀 등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내용을 만들수 있다.
- 요구사항 정의서 보강
- 너는 개발자야. 위에 작성한 요구사항 정의서를 보고 개발자 관점에서 보강되어야하는 항목을 알려줘.
2-2. GPT 활용케이스 [숙제설명]
위의 프롬프트를 직접 GPT에 작성해서 답변을 얻어봅시다.
[숙제해봤어요 - 내가 카카오톡 PM이라면? ]